티스토리 뷰

스프링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문든 둘의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해서 찾아보았다

별거 아닌 내용이지만 나는 몰랐으니까 ㅎㅂㅎ 정리해야겠다!!

 

1. @RequestParam - 파라메터의 값과 이름을 함께 전달하는 방식으로 게시판 등에서 페이지 및 검색 정보를 함께 전달하는 방식을 사용할 때 많이 사용한다.

 

controller layer에서의 사용법 

  @GetMapping("/comments")
    @ResponseStatus(HttpStatus.OK)
    public GetCommentsResponse getComments(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@RequestHeader String accessToken,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@RequestParam(required = false, defaultValue = "0", "page") int currentPage,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@RequestParam(required = false, defaultValue = "10", "size") int size) {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.
 }                     

위의 경우 /comments?page=1와 같이 url이 전달될 때 page 파라메터를 받아오게 된다.
이렇게 @RequestParam의 경우 url 뒤에 붙는 파라메터의 값을 가져올 때 사용한다.

 

2. @PathVariable - Rest api에서 값을 호출할 때 주로 많이 사용한다.

 

controller layer에서의 사용법

@PostMapping("/{postId}")
    @ResponseStatus(HttpStatus.CREATED)
    public WriteCommentResponse writeComment(@PathVariable Long postId,

url에서 각 구분자에 들어오는 값을 처리해야 할 때 사용한다.
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2   »
1
2 3 4 5 6 7 8
9 10 11 12 13 14 15
16 17 18 19 20 21 22
23 24 25 26 27 28
글 보관함